출산전후(유산, 사산) 휴가급여
출산전후(유산, 사산) 휴가급여 기간에 대해 급여를 지급함으로써, 여성근로자의 모성보호 및 출산으로 인한 경력단절 예방
지원대상
1. 근로기준법에 따른 출산전후(유산, 사산) 휴가를 부여받은 근로자
2. 피보험 단위기간이 180일 이상
- 출산전후휴가(유산 또는 사산휴가)를 시작한 날 이후 1개월부터 휴가가 끝난 날 이후 12개월 이내 신청
지원내용
1. 출산전후휴가
임신 중인 여성에게 출산 전과 후를 통하여 90일(다태아 120일) 부여, 출산 후 45일(다태아 60일) 이상 확보
2. 출산전후휴가급여
통상임금의 100% 지급
- 지원기간
1) 우선지원대상기업 소속 근로자 : 90일(다태아 120일)
2) 대규모기업 소속 근로자 : 최초 60일을 제외한 나머지 30일(다태아 45일)
- 지원액 : 근로자의 통상임금
1) 상한액(23년 기준 월 210만 원, 상한액은 매년 고시)
2) 하한액 (최저임금액)
3. 유산, 사산휴가
여성근로자가 유산 또는 사산하고 유산사산휴가를 청구하면 임신기간에 따라 차등 부여
- 지원기간
1) 임신기간 11주 이내 : 유산 또는 사산한 날부터 5일
2) 임신기간 12주 이상 15주 이내 : 유산 또는 사산할 날부터 10일까지
3) 임신기간 16주 이상 21주 이내인 경우 : 유산 또는 사산한 날부터 30일까지
4) 임신기간 22주 이상 27주 이내인 경우 : 유산 또는 사산한 날부터 60일까지
5) 임신기간이 28주 이상 : 유산 또는 사산한 날부터 90일까지
4. 유산사산휴가급여
통상임금의 100% 지급
- 지원기간 : 임신기간에 따른 휴가기간에 대해 지원
1) 우선지원대상기업 소속 근로자 : 최대 90일
2) 대규모기업 소속 근로자 : 최초 60일을 제외한 나머지 30일
- 지원액 : 근로자의 통상임금
1) 상한액(23년 기준 월 210만 원, 상한액은 매년 고시)
2) 하한액(최저임금액)
신청방법
- 신청기간
휴가를 시작한 날 [출산전후휴가 또는 유산, 사산휴가를 받은 피보험자가 속한 사업장이 우선지원 대상기업이 아닌 경우에는 휴가 시작 후 60일(한 번에 둘 이상의 자녀를 임신한 경우에는 75일)이 지난날로 본다] 이후 1개월부터 휴가가 끝난 날 이후 12개월 이내에 신청
- 신청방법
가까운 관할 고용센터를 방문하거나 온라인 (고용보험 홈페이지 https://www.ei.go.kr/ei/eih/cm/hm/main.do ), 우편으로 신청
- 제출서류
1. 출산전후휴가 급여
- 출산전후휴가 급여등 신청서 (고용보험법 시행규칙 별지 제105호 서식) 출산전후휴가에 체크
- 출산 전후휴가 확인서 (고용보험법 시행규칙 별지 제107호 서식, 최초 1회만 해당)
- 통상임금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 (임금대장, 근로계약서 등) 사본
- 휴가 기간 동안 사업주로부터 금품을 지급받은 경우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
2. 유산, 사산휴가 급여
- 출산전후휴가 급여등 신청서 (고용보험법 시행규칙 별지 제105호 서식) 유산, 사산휴가에 체크
- 유산, 사산휴가 확인서 (고용보험법 시행규칙 별지 제107호 서식, 최초 1회만 해당)
- 통상임금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 (임금대장, 근로계약서 등) 사본
- 휴가 기간 동안 사업주로부터 금품을 지급받은 경우 이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
- 유산 또는 사산을 하였음을 증명할 수 있는 의료기관의 진단서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공동육아나눔터 운영 (0) | 2023.12.18 |
---|---|
취약계층 통신요금감면 지원 신청방법 (4) | 2023.12.18 |
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(0) | 2023.12.16 |
1인 자영업자 고용,산재보험 가입지원 신청방법 (6) | 2023.12.15 |
양산시 청년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보증료 지원 신청방법 (6) | 2023.12.14 |